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일본 전염병 독성쇼크증후군 STSS 총정리

by 강남빠더 2024. 3. 29.

최근 일본에서 전염병이 돌고 있다고 해서 다시 한 번 공포를 주고 있습니다. 수년동안 코로나바이러스로 폐쇄 된 생활을 하다보니 이제 덜컥 겁부터 나는데요. 

치사율이 30%나 된다는일본 전염병 독성쇼크증후군 STS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전염병 독성쇼크증후군(STSS)란?

독성쇼크증후군은 A군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드물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별도의 감염병으로 분류하여 신고를 받고 있진 않으나 성홍열 합병증환자, 급성 호흡기 환자 병원체 감시사업을 통한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성홍열이라고 판단이 되면 의료기관으로부터 신고를 받아 가씨하고 있으며, 중증/합병증/사망 사례 경우 역학조사를실시하고 있습니다. 

증상 및 감염경로

독성쇼크증후군의 증상으로는 초기 인후통 등 인플루엔자와 유사하게 경미한 호흡기 증상으로 나타나고, 고열,발진, 저혈압,호흡곤란,괴사성 근막염 등 중증으로 진행 됩니다. 주로 점막 또는 상처부위 등을 통한 접촉으로 전파되며, 침과 호흡기 전파로도 감염되고 있습니다. 

 

일본전염병 관련주 바로가기 👈

 

백신 및 예방

 

현재 관련 백신은 없으며 대증요법으로 치료가 됩니다.(대증요법 : 그때그때 증상에 따른 치료법)

조기진단을 통한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므로 비슷한 증상이다 싶으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감염병의 예방으론 코로나 때와 동일합니다. 마스크 착용, 손 잘 씻기, 사람 많은 곳에 가지 않기 등이 있습니다. 또한 피부로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피부 상처를 최소화 하고 상처가 났다면 바로 노출을 피해주는 게 좋습니다.

 

특히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고령층, 최근 수술을 받아서 상처가 있는 경우, 상처가 바깥으로 드러난 경우 바이러스 감염(수두 등), 알콜 의존증, 당뇨병 환자 등 경우엔 신속하게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고, 마스크, 장갑 등을 착용하고 철저한 의료감염관리가 필요합니다.

 

독성쇼크증후군 현상황

일본에서 작년 941명으로 최다 환자가 발생했고, 24년 2월말까지 총 414건이 발생하여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2월말까지 발생한 환자 414명 중 90명(약 22%)이 사망하였고, 50세 이상 연령대에서 치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성홍열일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는데 작년 우리나라 성홍열 환자는 810명 이었습니다.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매우 낮은 발생입니다. 성홍열로 인한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사례는 2000년 이후 2건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상황은 현재상황이니 앞으로 얼마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독성쇼크증후군 현재상황 자세히 알아보기 👈

 

결론 및 총정리

 

너무 겁먹지 말고 개인 위생에 철저히 신경쓰면 코로나 때처럼 팬더믹은 오지 않을 것입니다. 해외여행 할 때도 늘 주의하고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바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건강이 최곱니다.